제로투원 1990년대 닷컴버블 1989년 11월,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면서 1990년은 축제 분위기 속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곧 미국 경제는 침체기에 빠졌다. 하락 국면은 1991년 3월에 끝났지만, 실업률은 1992년 7월까지 계속 상승했다. 1992년부터 1994년 말까지 불안정한 세계 정세는 계속되었다. 실리콘밸리 역시 부진했고, 반도체 전쟁은 일본이 승리하는 듯 보였다. 이 모든 것을 바꿔놓은 게 인터넷이다. 1992년 말이 되기 전까지 인터넷의 상업적 용도에 제한이 있어 대중화가 되려면 아직 시간이 더 필요했다. 그러나 1993년 11월 모자이크(Mosaic) 브라우저가 공식 발표되면서 일반인들도 온라인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모자이크는 이후 넷스케이프(Netscape)가 되었고, 넷스케이..
제로투원 과거에서 배워라 "남들이 동의하는 것은 무엇인가?" 니체는 "광기에 빠진 개인은 흔치 않다. 그러나 집단, 당파, 국가, 시대로 가면 광기가 곧 지배한다"라고 말했다. 흔히들 믿고 있는 잘못된 믿음을 찾아낼 수 있다면 반대로 그 뒤에 숨겨진, 통념과 다른 진실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통념으로 받아들여진 것들은 시간이 지나고 돌이켜볼때에야 '정말 제멋대로 잘못 생각한 거였구나'라고 깨닫게 된다. 무언가 붕괴가 되면 그것을 '버블'이라고 부른다. 1990년대 인터넷 광풍은 1929년 대공황 이후 최대 규모의 버블이었다. 그때 배운 교훈들은 아직도 우리 마음 속에 남아 기술에 대한 모든 시각을 정의하고 또 왜곡하고 있다. 그 왜곡을 뛰어넘어 올바른 시각을 갖고 싶다면, 과거에 관해 우리가 알고 있..
제로투원 새로운 생각 새로운 기술은 새로운 모험이다. 즉, 무언가를 새로 시작하며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정치에서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 과학에서 영국의 왕립학회, 비즈니스에서 페어차일드 반도체 '8인 배신자들' 등 보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변화시킨 주체는 일종의 사명감으로 똘똘 뭉친 소규모 집단들이다. 소규모 집단인 이유는 큰 조직에서는 새로운 것을 개발하기가 어렵고, 혼자서 새로운 것을 개발하기는 더더욱 어렵기 때문이다. 신생기업이 제대로 돌아가려면 사람들과 함께 일해야 한다. 다만 규모는 실제로 뭔가 할 수 있을 만큼 작게 유지되어야 한다. 신생기업은 지금과는 다른 미래를 만들기 위해 당신의 계획을 납득시킬 수 있는 최대치의 사람들이다. 이들의 강점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새로운 생각'이다. '..
제로투원 0에서 1, 진보된 미래 세상은 두 가지 진보로 나뉘어져있다. 수평적 진보와 수직적 진보다. 수평적 진보는 입증된 것을 카피한다. 1에서 n으로 진보하는 의미다. 수직적 진보는 새로운 것을 만들어낸다. 즉, 0에서 1로 진보하는 것이다. 수직적 진보는 아무도 한 적이 없는 일을 하기 때문에 쉽지 않다. 이를 테면, 누군가가 한 개의 타자기를 보고 비슷한 타자기 100개를 만들었다면, 수평적 진보다. 다른 누군가는 타자기를 보고 워드프로세서를 만들었다면, 수직적 진보다. 거시적 측면에서 수평적 진보는 글로벌화(Globalization)다. 글로벌화는 한 곳에서 성공한 것을 모든 곳에서 성공하게 만드는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중국이다. 중국의 20개년 계획은 미국처럼 되는 것이다. 그동안 중국은 ..
제로투원 미래를 향해 도전하라 "정말 중요한 진실인데 남들이 당신한테 동의해주지 않는 것은 무엇입니까?" 이 질문은 지적인 측면 또는 심리적인 측면에서 답하기 어렵다. 첫째는 학교에서 배운 모든 지식을 당연하게 받아들였기 때문이고, 둘째는 보통 일반인이 생각하는 통상적인 견해가 아니기 때문이다. 뛰어난 생각은 흔치 않다. 그렇지만, 이보다 더 희귀한 것은 바로 용기다. 여기서 좋은 대답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 사람은 A라고 믿지만, 진실은 정반대다." 그렇다면 이런 질문과 미래는 어떤 연관이 있는 걸까? 미래는 아직 오지 않은 순간들의 총합이다. 미래가 중요한 이유는 미래의 세상은 우리가 바라보는 현재 세상과 다를 것이기 때문이다. 미래를 정확히 예견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지만, 확실한 두 가지 사실이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