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자(融資)는 "자금을 융통한다"는 뜻한다. 집을 담보로 잡고 은행에서 대출을 받는 것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 예를들어, 국민은행, 농협 등의 은행에서 대출을 받는 것을 말한다. 집을 매수할 때 '융자가 얼마다'라고 할 경우, 집 가격은 2억, 매수자는 현금 1억을 가지고 있다. 나머지 1억은 은행 대출을 통해 빌린다. 은행은 집을 담보로 돈을 빌려줄 것이다. 여기서 만약, 매도자(현 집주인)가 과거에 현재 집을 담보로 1억을 대출 받았다면, 매수자는 새로 대출받지 않고 매도자가 가지고 있는 은행빚(1억)을 그대로 이어받고, 현금 1억만 주면 거래가 성사된다. 전세의 경우, 집 가격 2억, 해당 집에 세입자가 1억 전세로 살고있다. 매수자는 현금 1억을 보유하고 있다. 매수자는 전세보증금(1억)을 세입자..
[요약] 1. 영국의 항공엔진 제조업체 롤스로이스(Rolls-Royce)가 직원 9000명을 감원한다. 2. 대규모 감원은 30년 만에 처음 3. 롤스로이스 대규모 구조조정,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하는데 수년 걸릴 것으로 예상 [원문] 영국의 항공엔진 제조업체 롤스로이스(Rolls-Royce)가 직원 9000명을 감원한다. 코로나19로 하늘길이 막히자 항공업계가 직격탄을 맞은 탓이다. 19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롤스로이스는 전체 직원의 20%인 9000명을 해고하는 대규모 구조조정 계획을 밝혔다. 본사 차원의 대규모 감원은 30년 만에 처음이다. 롤스로이스는 항공 관련 수요가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하는데 수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자, 이같은 구조조정을 결단했다. 첫 타깃은 민간 항공 분..
5월 4일부터 최대 100만 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이 지급된다. 생계가 어려운 저소득층 280만 가구는 현금으로 받고, 나머지는 신용·신용·체크카드 포인트,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지폐·모바일·카드) 중 하나로 받을 수 있다. 긴급재난지원금은 백화점, 대형마트, 온라인쇼핑몰, 유흥업소 등에선 쓸 수 없다. 또 8월 31일까지 사용해야 한다. 1) 저소득층 제외하고, 신용 / 신용, 체크 카드 포인드 / 선불카드 / 지역사랑상품권(지폐, 모바일 카드) 중에 받는다. 2) 8월 31일까지 사용해야 한다. 3) 1인 가구 40만 원, 2인 가구 60만 원, 3인 가구 80만 원이다. 3월 29일 기준 주민등록표 상의 세대가 기준이다. 4) 긴급재난지원금 조회 서비스 홈페이지(http://긴급재난지원금.kr)에 ..
평소에 전세제도에 대해 많이 들어봤지만 개념이 명확하지 않아 이곳에 남겨본다. 전세는 우리나라에서만 존재하는 독특한 임대계약형태로 주택가격의 일부를 보증금으로 맡기고 일정 계약기간동안 집을 임대하는 방식을 말한다. 주택가격이 100이면 80을 보증금으로 맡기고 일정기간 동안 거주하는 제도로 이해된다. 다른 설명을 한번보자. 주택가격의 일부를 보증금으로 맡기고 남의 집을 빌려 거주한 뒤 계약기간이 끝나면 보증금을 돌려받는 주택임대차 유형으로, 월세를 내지 않는다는 점에서 월세와 차별화된다. 세입자는 집주인에게 전세금을 지급하며, 매달 지급할 월세를 면제받는다. 집주인은 구매한 집의 지급할 매달 이자를 면제받는다. 세입자가 전세금을 지급한 다음 그 집에서 일정 기간 사는 것이다. 계약이 끝나면 집 주인은 다..
재정긴축 또는 긴축재정이라는 이야기를 들어봤을 것이다. 경제 공부를 한다면 재정긴축 / 긴축재정 용어에 익숙해져야 할 것이다. 긴축재정을 살펴보자.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의 예산 규모를 줄이는 재정. 주로 인플레이션 억제를 목적으로 하며, 행정 정리ㆍ공공사업의 연기나 중단, 급여 폭의 인하 따위를 실시한다. >> 간단히 말해서 재정을 줄이는 정책이다. 돈 씀씀이를 줄이는 정책. 돈 많이 쓰니까 소비를 줄이자는 의미다. 다른 글의 해석도 같이 살펴보자 긴축재정정책은 경제가 잘 나갈 때 정부가 씀씀이를 줄이는 정책. (여기 나왔다.) 경제가 잘나갈 때 정부가 씀씀이를 줄이는 이유는 간단하다. 경제가 잘나가서 시민들도 사장님들도 행복해 할 때는 정부가 굳이 나서서 열심히 쇼핑을 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정부..
나는 평소에 정부에서 시행하는 사업을 눈여겨본다. 정부에서 주는 혜택을 받기 위해서다. 정부에서 제공해주는 지원을 그냥 넘기면 자신만 손해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자주 신문을 보고 정부에서 진행하는 사업 내용을 유심히 관찰하자. 어떤 기회와 마주칠지 알 수 없다. 2020년 보건복지부에서는 청년저축계좌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청년저축계좌란 차상위계층 청년이 매월 10만원을 저축 시 정부가 근로소득 장려금 30만원을 매칭해 3년 뒤에는 1440만원을 모을 수 있게 한 제도이다. 청년저축계좌 제도는 오는 4월부터 시행 예정이다. 청년저축계좌의 자격 요건은 기준중위소득 50% 이하(2인 기준 월소득 145만원 이하)인 만 15~39세의 주거·교육수급 청년 및 차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한다. 아르바이트 등 임시직과..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