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모임 / 신경끄기의 기술 / 마크 맨슨

반응형

800x0 (1).jpeg

 

책 제목

신경 끄기의 기술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만 남기는 힘

 

저자

마크 맨슨

 

Screen Shot 2020-12-08 at 9.06.41 PM.png

 

진짜로 중요한 것에 쓰기 위한 신경을 따로 남겨 놓는다

 

삶에는 또 다른 진리가 숨어있다.

바로 사람들의 웃음거리나 골칫거리가 되지 않고서는 다른 사람의 인생을 바꿀 만큼 중요한 존재가 될 수 없다는 것 말이다.

 

Screen Shot 2020-12-08 at 9.07.18 PM.png

 

사실, 인간은 본성상 과도하게 신경을 쓰게 돼 있다.

 

기꺼이 신경을 쓸 대상을 꼼꼼히 고르는 것이 바로 성숙이다.

점점 줄어만 가는 신경을 우리 삶에서 가장 가치 있는 부분을 위해 남겨 놓는다.

 

 

Screen Shot 2020-12-08 at 9.07.38 PM.png

 

당신은 어떤 고통을 원하는가

 

무엇을 위해 기꺼이 투쟁할 수 있는가?

 

Screen Shot 2020-12-08 at 9.08.54 PM.png

 

 

그저 정상을 상상하는 걸 좋아했을 뿐이다.

진실은 내가 뭔가를 원한다고 생각했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았다는 것이다.

 

 

Screen Shot 2020-12-08 at 9.09.22 PM.png

 

결과는 원했지만, 과정은 원하지 않았다.

 

투쟁은 미워하고 오직 승리만을 사랑했다.

 

Screen Shot 2020-12-08 at 9.09.33 PM.png

 

성공을 결정하는 질문은 '나는 무엇을 즐기고 싶은가'가 아니라, '나는 어떤 고통을 견딜 수 있는가'다.

행복으로 가는 길에는 똥 덩어리와 치욕이 널려 있다.

 

Screen Shot 2020-12-08 at 9.10.14 PM.png

 

삶이란 본래 문제의 연속이다. 한 문제를 해결하면 곧 다른 문제가 잇따른다.

 

문제 없는 삶을 꿈꾸지 마라! 그런건 없다. 대신 좋은 문제로 가득한 삶을 꿈꿔라!

 

Screen Shot 2020-12-08 at 9.10.22 PM.png

 

행복하려면 우리는 뭔가를 해결해야 한다.

그러므로 행복은 일종의 행동이며 활동이다.

 

Screen Shot 2020-12-08 at 9.10.49 PM.png

 

문제풀기가 끊임없는 제조 과정에 놓여 있는 미완성품이기 때문이다.

 

오늘 문제에 대한 해법은 내일 문제를 풀기 위한 토대가 될 것이다.

 

Screen Shot 2020-12-08 at 9.11.31 PM.png

 

사람들이 자신의 문제를 부정하고 다른 사람을 비난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부정하거나 비난하는 일은 쉽고 즐겁지만 문제를 해결하기는 힘들고 대체로 불쾌하기 때문이다.

 

Screen Shot 2020-12-08 at 9.11.49 PM.png

부정적인 감정은 행동하라는 요구다. 그걸 느끼면 당신은 뭔가를 해야 한다.

 

반면에 긍정적 감정은 적절한 행동을 했을 때 주어지는 보상이다.

 

Screen Shot 2020-12-08 at 9.12.07 PM.png

 

당신이 결혼하는 사람이 당신과 싸울 사람이다.

 

당신이 구입하는 집이 당신이 수리할 집이다.

 

당신이 선택한 꿈의 직업이 당신에게 스트레스를 줄 직업이다.

 

Screen Shot 2020-12-08 at 9.12.23 PM.png

 

어떤 일이건 희생이 따르는 법이다.

우리를 기분 좋게 해주는 것은 한편으로 우리 기분을 해치기 마련이다.

 

 

Screen Shot 2020-12-08 at 9.13.14 PM.png

 

실제로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부정적인 부분을 그대로 볼 수 있다.

 

허세꾼들은 자신의 문제를 솔직히 인정할 수 없기 때문에 삶을 알차고 의미 있는 방향으로 바로잡지 못한다.

 

Screen Shot 2020-12-08 at 9.13.38 PM.png

 

자신을 유망주나 재야의 천재로 보지 말라

비참한 피해자나 형편없는 실패자로도 여기지 말라

고통이 불가피하다면 우리가 던져야 하는 질문은 '무엇 때문에 고통받는가'이다.

 

Screen Shot 2020-12-08 at 9.14.04 PM.png

 

내 경험에 의하면, 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답일수록 참일 가능성이 크다.

 

Screen Shot 2020-12-08 at 9.14.18 PM.png

 

'난 이럴 때 행복해', '난 이럴 때 슬퍼', '난 이럴 때 희망을 느껴'와 같은 종류의 인식 말이다.

 

Screen Shot 2020-12-08 at 9.14.28 PM.png

 

감정의 이유를 찾는 이 질문은 몹시 어려우며, 일관되고 정확한 답을 찾는 데 몇 달 혹은 몇 년이 걸릴 수도 있다.

 

 

Screen Shot 2020-12-08 at 9.14.57 PM.png

 

자기인식의 세 번째 층은 바로 개인의 가치관이다.

 

세 번째 층은 끊임없이 질문하고 노력해야 간신히 닿을 수 있다.

 

하지만 가치관이 우리 문제의 본질을 규정하고 문제의 본질이 삶의 질을 규정하므로 이 단계가 가장 중요하다.

Screen Shot 2020-12-08 at 9.15.23 PM.png

 

당신 상황에 책임이 있는 건 다른 누구도 아닌 당신 자신이다.

 

당신 불행을 다른 사람 탓으로 돌릴 수도 있겠지만, 불행을 책임질 사람은 오로지 당신 뿐이다.

 

Screen Shot 2020-12-08 at 9.17.10 PM.png

 

성장은 끝없는 반복 과정이다.

 

결정적인 정답을 구할 게 아니라, 오늘 틀린 점을 조금 깎아내 내일은 조금 덜 틀리고자 해야 한다.

 

난 나이가 들고 경험을 쌓는 과정에서 틀린 점을 조금씩 덜어내 매일 덜 틀린 사람으로 거듭날 것이다.

 

Screen Shot 2020-12-08 at 9.17.49 PM.png

 

확신은 성장의 적이다.

사건이 실제로 일어나기 전까지 확실한 건 아무것도 없다.

 

항상 내가 옳기만을 바랄 게 아니라, 내가 어떻게 틀렸는지를 따져 봐야 한다.

 

우리는 항상 틀리기 때문이다. 틀리면 변화할 수 있다. 틀리면 성장할 수 있다.

 

Screen Shot 2020-12-08 at 9.18.21 PM.png

 

우위를 점하는 건 언제나 믿음이다.

 

먼저 자신을 보는 관점과 자신에 관한 믿음을 바꾸지 않는다면, 회피와 불안을 극복할 수 없다.

 

수 많은 작은 실패가 모여 발전을 이룬다.

 

성공의 크기는 얼마나 많이 실패하느냐에 달려 있다.

Screen Shot 2020-12-08 at 9.19.07 PM.png

 

고통은 때로 우리를 다시 일어서게 해준다.

 

더 강한 사람으로, 더 현실적인 사람으로 만들어준다.

 

우리에겐 일종의 실존적 위기가 필요하다.

 

Screen Shot 2020-12-08 at 9.19.50 PM.png

 

한 사람의 인생을 의미 있고 중요하게 만드는 유일한 길은 수 많은 선택지들을 거부하는 것이다.

 

자유의 범위를 좁히는 것이다.

 

우리는 한 가지를 선택해 몰입해야 한다.

Screen Shot 2020-12-08 at 9.20.30 PM.png

 

무엇을 거부하느냐가 우리를 규정한다.

 

아무것도 거부하지 않는다면, 아예 정체성 자체가 형성되지 않는다.

 

Screen Shot 2020-12-08 at 9.20.57 PM.png

 

건전한 관계의 특징은 두 사람이 상대에게 만족감을 주기 위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는 것이다.

Screen Shot 2020-12-08 at 9.21.48 PM.png

 

짧은 인생 대부분을 고통과 불편함을 피하는 데 써버린 나는 사실상 삶을 피해온 것이나 마찬가지다.

 

Screen Shot 2020-12-08 at 9.21.55 PM.png

 

죽음에 대한 공포는 삶에 대한 공포에서 비롯한다. 삶을 충실히 사는 사람은 언제든 죽을 준비가 되어 있다.

- 마크 트웨인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