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모임 / TED 프레젠테이션 / 제레미 도노반

반응형

Screen Shot 2020-11-17 at 9.01.45 PM.png

 

우리가 TED 무대에 선다면 어떤 스토리로 세계를 감동시킬 것인가?

 

Screen Shot 2020-11-17 at 9.01.53 PM.png

 

여러분의 스토리도 다른 사람에게 놀라운 감동을 줄 수 있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2.02 PM.png

 

어떻게 풍부한 감성을 스토리에 녹여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지 그 방법만 알면 된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2.14 PM.png

 

첫 번째, 깊은 자기 성찰에서부터 시작하라

 

Screen Shot 2020-11-17 at 9.02.37 PM.png

 

전달하고자 하는 하나의 메시지를 선택해 메시지의 논리에 감성적 깊이를 더하는 놀랄만한 경험을 머릿 속에서 끄집어 내는 것이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2.53 PM.png

 

소속감, 개인 이익, 자기 계발, 미래에 대한 희망 등 인간의 4가지 기본 욕구에 스토리를 연계하라

 

Screen Shot 2020-11-17 at 9.03.07 PM.png

 

평범한 삶 속에서도 놀라운 순간들을 발견할 수 있다.

 

특별한 이야기는 특이한 소재 없이도 가능하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3.18 PM.png

 

'남과 같지만 나만 할 수 있는 특별한 소재'를 이야기로 만들어보는 것은 어떨까?

 

Screen Shot 2020-11-17 at 9.03.26 PM.png

 

두 번째, 짧고 명쾌한 핵심 메시지를 개발하라

 

Screen Shot 2020-11-17 at 9.03.42 PM.png

 

핵심 메시지, 강력한 호소력을 갖는 기본 문구, 즉, 캐치프레이즈로 바꿔 청중의 머릿 속에 각인될 때까지 몇 번이고 반복한다.

 

캐치프레이즈는 짧고 간결하고, 청중 행동을 촉발 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하며, 쉽게 기억될 수 있도록 운율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3.51 PM.png

 

강연을 듣고 청중이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오래 기억해주길 바란다면, 캐치프레이즈나 운율, 반복을 적절하게 활용해보자

Screen Shot 2020-11-17 at 9.04.11 PM.png

 

세 번째, 당신의 프로필도 메시지와 연관시켜라

 

Screen Shot 2020-11-17 at 9.04.18 PM.png

 

사회자 역할은 연사를 초인적 존재로 미화하는 것이 아니라 연사가 가진 신뢰성을 청중에게 심어주는 것이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4.23 PM.png

 

사람들이 신뢰를 보내는 대상은 저 높은 곳에 존재하는 누군가가 아니라 자신과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또 다른 누군가이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4.31 PM.png

 

네 번째, 인상적인 오프닝이 분위기를 결정한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4.50 PM.png

 

프레젠테이션 프레임은 크게 오프닝, 본론, 결론으로 구성된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4.57 PM.png

 

청중과 교감을 형성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시간은 연단에 오른 후 첫 10 - 20초 정도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5.03 PM.png

 

이 짧은 시간에 청중을 사로 잡지 못하면 청중은 프레젠테이션 내내 다른 생각을 하며 시간을 보낼 것이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5.28 PM.png

 

성공 확률 100% 오프닝 코멘트는 사적인 이야기로 시작하는 것이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5.37 PM.png

 

기존 사실에 반하는 통계 수치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5.43 PM.png

 

<왜>로 시작하는 질문이 가장 효과적이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5.52 PM.png

 

<여러분>이라는 단어를 의도적으로 사용하여 <매우 효과적인 질문>으로 탈바꿈시킬 수 있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6.02 PM.png

 

오프닝 코멘트에서 청중이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와 프레젠테이션에 얼마의 시간이 소요될지를 명시해야 한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6.10 PM.png

 

다섯 번째, 스토리의 프레임을 고민하라

 

Screen Shot 2020-11-17 at 9.06.15 PM.png

 

<주제를 무엇으로 할지>, <어떻게 얘기할지>, <지금까지 얘기한 걸 어떻게 정리할지>가 프레젠테이션의 골격, 프레임에 해당한다.

 

핵심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6.39 PM.png

 

PPT 본론은 3개 섹션을 구성할 것을 추천한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6.59 PM.png

 

여러분은 청중이 여러분의 스토리를 자신에게 투영할 수 있도록 자주 질문 해야 한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7.06 PM.png

 

청중이 대답할 수 없는 상황이라해도 질문은 하는 편이 좋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7.13 PM.png

 

여러분의 스토리가 일방향 프레젠테이션이 아닌 청중과 대화로 발전하기 때문이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7.23 PM.png

 

다른 사람의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는 작지만 큰 기술은 하루 아침에 획득되지 않는다.

 

많이 보고, 많이 듣고, 그것을 메모하고, 내 것으로 익혀 만들어 내는 노력을 끊임없이 기울인다면

 

어느새 사람들은 감동하게 할 수 있는 작은 감성 코드를 풍성하게 모을 수 있을 것이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8.18 PM.png

 

여섯 번째, 결론은 생각을 움직일 마지막 기회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8.24 PM.png

 

스토리 결론은 청중의 생각을 바꾸게 하거나, 행동을 유발할 수 있도록 설득하는 마지막 기회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8.30 PM.png

 

한 가지 방법은 짧은 문장을 사용하고, 열정이 느껴지도록 목소리에 힘을 싣는 것이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8.37 PM.png

 

결론에서 이야기할 내용은 모두 핵심 주제와 연결된 것이어야 한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9.07 PM.png

 

오프닝에서 던진 <왜>라는 질문에 대한 명확한 답변과 청중이 얻을 수 있는 이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할 필요가 있다.

 

Screen Shot 2020-11-17 at 9.09.38 PM.png

 

쉬운 것부터, 절박한 것부터, 하나씩 행동으로 실천하라고 요구하라.

 

Screen Shot 2020-11-17 at 9.09.56 PM.png

 

일곱 번째, 스토리는 청중과 함께 하는 여행지도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0.06 PM.png

 

가장 좋은 방법은 연사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이나 관찰을 통해 알게 된 것들을 스토리로 묶어 이야기하는 것이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0.11 PM.png

 

프레젠테이션을 할 때 연사가 절대 하지 말아야 할 금기 사항 중 하나가 <자신을 청중보다 우월한 존재로 부각하는 것>이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0.20 PM.png

 

연사는 늘 청중과 동등한 위치에 서 있고, <그들을 어딘가로 안내한다>는 생각으로 스토리를 이끌어야 한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0.33 PM.png

 

훌륭한 스토리는 청중이 연사의 설명을 따라가면서 하나씩 하나씩 스스로 지혜를 발견하게 하는 것이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0.41 PM.png

 

여덟 번째, 열정을 전하는 이야기 꾼이 되라

 

Screen Shot 2020-11-17 at 9.10.45 PM.png

 

TED 연사들은 일대일 대화를 하듯 프레젠테이션 내내 열정적인 톤을 유지한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0.51 PM.png

 

이들은 초등학교 6학년 정도 어린이도 알아들을 수 있는 수준의 언어를 사용한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0.59 PM.png

 

자신을 홍보하려는 낌새가 조금이라도 느껴지면 청중의 호감도는 급격하게 떨어진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1.07 PM.png

 

<여러분>이라는 단어를 두 배 이상 사용한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1.15 PM.png

 

훌륭한 내용이 없으면 결코 어떠한 기술로도 그 내용의 부족함을 넘어설 수 없다고 단호하게 말한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1.26 PM.png

 

아홉 번째, 주인공의 대화에 유머를 녹여라

 

Screen Shot 2020-11-17 at 9.11.32 PM.png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고 충분한 효과까지 거둘 수 있는 유머는 자기 비하 유머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1.41 PM.png

 

누군가에게 들었던 이야기나 어딘가에서 읽은 이야기로 유머를 시도하지 마라.

청중은 든는 순간 김이 샐 것이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1.56 PM.png

 

유머와 관련해 최악의 상황은 여러분의 유머에 아무도 반응을 보이지 않고 썰렁한 기운만 감도는 때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2.04 PM.png

 

다른 사람을 웃게 하는 것, 그 비결은 꾸준한 시행착오 밖에 없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2.36 PM.png

 

열 번째, 표정과 제스처로 스토리에 생명을 불어넣어라

 

Screen Shot 2020-11-17 at 9.12.42 PM.png

 

효과적인 손동작은 스토리의 효과를 반감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스토리의 내용을 풍부하게 해주고 전달 효과도 높여준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2.57 PM.png

 

프레젠테이션 중에는 진심이 담긴 미소를 머금고 있어야 한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3.29 PM.png

 

깊이 새겨야 할 중요한 팁은 여러분은 청중이 언제라도 볼 수 있는 무대 위에 서 있다는 사실이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3.36 PM.png

 

의상, 차림새, 행동 하나하나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일관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3.46 PM.png

 

열한 번째, 프레젠테이션 자료는 적을 수록 좋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4.00 PM.png

 

프레젠테이션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슬라이드를 아예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4.19 PM.png

 

 

실제로 최다 조회 수를 기록한 TED 프레젠테이션 연사 10명 중 4명은 발표 자료 없이 프레젠테이션을 했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4.26 PM.png

 

자료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라면, 단순하게, 이미지 위주로, 텍스트는 최소한으로 디자인하라

Screen Shot 2020-11-17 at 9.14.41 PM.png

 

열두 번째, 연습만이 프레젠테이션을 빛낸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4.57 PM.png

 

청중과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강연장에 일찍 도착하라

 

Screen Shot 2020-11-17 at 9.15.10 PM.png

 

청중은 여러분이 성공적으로 프레젠테이션을 끝마치기를 원한다는 사실을 늘 기억하라

 

Screen Shot 2020-11-17 at 9.15.20 PM.png

 

무엇보다 강연 내용 전체를 다 외우려고 하지 말자

 

 

Screen Shot 2020-11-17 at 9.15.50 PM.png

 

왜냐하면 암기와 기억에 대한 부담감에 짓눌려 표정이나 목소리가 편안하게 나오지 못하기 때문이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5.57 PM.png

테드와 관련된 또 다른 책 2권 소개

 

Screen Shot 2020-11-17 at 9.16.28 PM.png

 

연설의 성공 비결은 무엇을 어떻게 덜어내느냐에 의해 좌우된다.

 

잘 덜어낼수록 효과는 배가 된다.

 

Screen Shot 2020-11-17 at 9.16.58 PM.png

 

시간이 길어지면 처음의 신선함은 사라지고, 듣는 사람들의 집중력은 저하된다.

 

출처

 

인스타: @books_curator

유튜브: 독한남자

www.youtube.com/user/e2pkay

 

독한남자

트렌디한 생각재료로 지적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독한남자입니다!

www.youtube.com

블로그:

blog.naver.com/moozijoa

 

딜리버링 에너지 : 네이버 블로그

책, 영화, 제주, 새소리, 딸과놀기를 좋아하는 콘텐츠 큐레이터 ◎강의 주제: 콘텐츠 기획, 트렌드, 뇌, 심리, 인문, 건강, 브랜딩

blog.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