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모임 / 돌파력 / 라이언 홀리데이

반응형

Screen Shot 2020-11-12 at 9.01.59 PM.png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 에서 이렇게 말한다.

 

인생은 예상치 못한 장애물로 가득 차 있다.

 

하지만 그 무엇도 우리가 가진 나름대로 행동방식과 기질을 방해 할 수는 없다.

 

마음을 상황에 적응시킬 수 있으며, 행동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자신의 목적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다.

 

 

Screen Shot 2020-11-12 at 9.02.42 PM.png

 

뚜렷한 목적의식만 있으면 장애물은 우리가 가야할 길을 알려주는 존재로 바뀐다.

 

사실 오늘날 우리가 마주치는 장애물 대부분은 외부적인 것이 아니라 내적인 것들이다.

 

Screen Shot 2020-11-12 at 9.03.14 PM.png

 

우리는 적을 마주하는 대신 '내적인 긴장'과 맞서야 한다.

 

Screen Shot 2020-11-12 at 9.03.24 PM.png

 

장애물을 돌파하는 데 가장 중요한 세 단계

 

1. 인식 단계

 

2. 행동 단계

 

3. 의지 단계

 

장애물은 사실 우리가 자신을 시험하고 새로운 것을 경험하며 성공을 움켜쥘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장애물이 곧 길이다.

Screen Shot 2020-11-12 at 9.04.15 PM.png

 

인식 단계의 원칙 - 어떻게 받아들이고 판단할 것인가?

 

행동 단계의 원칙 - 신중하되 과감하게 나아가라

 

의지 단계의 원칙 - 운명을 바꾸는 가장 강력한 무기, 내면의 힘

 

 

Screen Shot 2020-11-12 at 9.04.53 PM.png

 

 

남들이 흥분하건 두려움에 사로잡히건 상관없이

우리는 끝까지 짐착함을 유지해야 한다.

 

이런 자세가 장애물과 맞서는 데 엄청난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Screen Shot 2020-11-12 at 9.05.21 PM.png

 

살다보면 누구나 장애물과 마주칠 수밖에 없다.

 

세월이 흐르고 경험이 쌓일수록, 우리는 이 장애물이 무엇이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그것을 어떻게 바라보고 대처하느냐

 

어떻게 하면 차분한 이성을 유지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앞에 놓인 '문제'를 문제로 인식하지 않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본질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Screen Shot 2020-11-12 at 9.06.26 PM.png

 

어떤 사건은 그 자체로 가만히 있다.

 

우리가 스스로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가에 따라 이야기는 전혀 다르게 전개되는 셈이다.

 

Screen Shot 2020-11-12 at 9.07.26 PM.png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무언가를 그렇게 만드는 것은 우리 생각이다.

 

- 셰익스피어 -

 

Screen Shot 2020-11-12 at 9.07.40 PM.png

 

아파테이아는 비합리적이거나 극단적인 감정이 배제된 차분한 평점심을 의미한다.

 

Screen Shot 2020-11-12 at 9.08.24 PM.png

 

진짜 힘은 '통제'에서 나온다.

 

단지 감정의 늪에 빠져 허우적거리지만 않으면 된다.

 

Screen Shot 2020-11-12 at 9.08.49 PM.png

 

'내가 이런 일로 꼭 좌절할 필요가 있나?'

 

Screen Shot 2020-11-12 at 9.10.02 PM.png

 

무사시는 관찰의 눈은 오로지 현상만을 바라본다는 점을 이해하고 있었다.

 

반면 인식의 눈은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 이상의 무엇을 바라본다.

 

Screen Shot 2020-11-12 at 9.10.12 PM.png

 

관찰하는 눈은 어떤 편견이나 과정, 혹은 오류의 개입 없이 사건을 바라본다.

 

인식하는 눈은 '난공불락의 장애물', '심각한 위기', 혹은 '문제'를 바라본다.

 

Screen Shot 2020-11-12 at 9.11.10 PM.png

 

인식은 우리에게 필요하지도 않은 '정보'를 제공한다.

 

우리 눈앞에 나타난 것에 전념하는 편이 백 번 낫다.

 

Screen Shot 2020-11-12 at 9.11.55 PM.png

 

객관성이라는 말은 방정식에서 '나'(주관적 측면)를 제거한다는 뜻이다.

 

전혀 중요한 일이 아니라고 생각해보라

 

해결책을 찾기가 훨신 쉬워진다.

 

간단히 마음의 짐을 버리고 차분하게 대처할 수 있다.

 

Screen Shot 2020-11-12 at 9.13.04 PM.png

 

 

객관성이라는 말은 방정식에서 '나'를 제거한다는 뜻이다.

 

있는 그대로 본질을 바라보는 훈련에 익숙해지면 인식은 적군이 아니라 아군이 되어 우리를 돕는다.

 

Screen Shot 2020-11-12 at 9.13.22 PM.png

 

관점이 모든 것을 좌우한다.

 

문제를 새로운 각도로 바라볼 수 있으면 그것은 당신에게 미치던 힘을 상실한다.

 

 

 

Screen Shot 2020-11-12 at 9.14.20 PM.png

 

조금만 방향을 바꿔도 이전에는 불가능한 과제로 느껴졌던 일이 새로운 모습으로 다가온다.

 

스스로 한없이 나약하게 느껴지는 게 아니라, 강력한 힘이 느껴진다.

 

Screen Shot 2020-11-12 at 9.14.32 PM.png

 

 

자신이 변화시킬 수 있는 일에 초점을 맞추면 어떻게 될까?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지점이 바로 여기다.

 

Screen Shot 2020-11-12 at 9.15.01 PM.png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에 초점을 맞추다 보면 그 범주가 점점 넓어진다.

 

Screen Shot 2020-11-12 at 9.15.26 PM.png

 

쓸데없는 고민으로 시간을 낭비하지 마라

 

자신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현재에 집중할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

Screen Shot 2020-11-12 at 9.17.23 PM.png

 

 

스티브잡스는 현실왜곡장 때문에 "불가능하다"라거나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등의 핑계를 용납하지 않는 인물로 악명을 떨쳤다.

 

잡스는 주위 사람들의 반대를 거부하는 법을 터득했다.

 

반대는 두려움에 뿌리를 둔 경우가 너무 많기 때문이다.

 

Screen Shot 2020-11-12 at 9.17.46 PM.png

 

어떤 면에서는 그것이 현실 자체를 좌우한다.

 

Screen Shot 2020-11-12 at 9.18.34 PM.png

 

기업가란 아무것도 없던 곳에 무언가를 만들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가진 사람이다.

 

Screen Shot 2020-11-12 at 9.18.58 PM.png

 

 

투쟁의 강도가 성장의 강도를 결정한다.

 

장애물은 역경이 아니라 혜택이다.

 

Screen Shot 2020-11-12 at 9.19.18 PM.png

 

문제는 정확하게 우리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만큼 풀기 어렵다.

 

Screen Shot 2020-11-12 at 9.19.23 PM.png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게 되면, 그 다음에는 행동을 해야 한다.

 

Screen Shot 2020-11-12 at 9.19.37 PM.png
Screen Shot 2020-11-12 at 9.20.22 PM.png

 

출처

 

인스타: @books_curator

유튜브: 독한남자

www.youtube.com/user/e2pkay

 

독한남자

트렌디한 생각재료로 지적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독한남자입니다!

www.youtube.com

블로그:

blog.naver.com/moozijoa

 

딜리버링 에너지 : 네이버 블로그

책, 영화, 제주, 새소리, 딸과놀기를 좋아하는 콘텐츠 큐레이터 ◎강의 주제: 콘텐츠 기획, 트렌드, 뇌, 심리, 인문, 건강, 브랜딩

blog.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