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자기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부자의 기준 마련해야 한다.
2. 자신의 능력을 향상시켜 자산가치를 높이도록 노력해야 한다.
3. 은퇴 후 노후자금은 투자수익률을 올리는 비율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
금리는 매 순간 자산가치의 가능성을 수치화해서 보여주는 잣대이며, 시간을 사고파는 결과이다. 즉, 돈이 가진 부가가치의 가능성에 비례한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돈을 빌려 사업을 했을때 대출 이자를 갚고도 평균적으로 이익을 낼 수 있는 경제구조라면 금리는 상승하고, 돈을 빌려 사업을 했을때 손해를 보기 쉬운 경제 상황이라면 금리는 하락한다. 금리를 만만하게 보면 곤란하다. 미국이나 우리나라나 지난 100년간 100만원을 투자해서 가장 큰 수익률을 올려준 투자수단은 복리예금, 채권, 부동산, 주식 순이다.
이자율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산가치를 늘리려는 인간의 행동양식을 규정하는 유일한 수단이자, 경제 중심 축으로 활용해왔다. 저자가 정의하는 부자의 또 다른 정의는 '이자율을 기준으로 경제 현상을 바라보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출처>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의 감각 - 신용팽창의 필요조건 (0) | 2020.04.19 |
---|---|
돈의 감각 - 인플레이션 / 디플레이션 (0) | 2020.04.16 |
시골의사의 부자 경제학 - 부자의 철학, 부자의 논리 (0) | 2020.04.14 |
돈의 감각 - 돈이란 무엇인가 (0) | 2020.04.12 |
돈의 감각 - 평가절하 / 평가절상 / 가치절하 / 가치절상 (0) | 2020.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