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 살아가는 모든 것에는 주기가 있다. 1년의 사계절, 인간의 삶, 생로병사, 흥망성쇠 등 이러한 것들은 주기를 표현하는 대표적인 단어다. 경제도 비슷하다. 경제도 인간에 의한 행위로 인해 발생한 것이므로 자연히 주기가 존재한다. 경제의 핵심은 돈이다. 돈을 알아야 경제를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런 돈의 총량을 '통화량'이라고 부른다. 통화량이 많고 적음에 따라 '가격'이 오르거나 내려간다. 어딘가에 돈을 투자하려면 통화량의 증감 추세를 미리 알아차리는 게 중요하다.
돈이 부족하면 경제가 잘 돌아가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경기가 좋지 않다고 말할 때는 '돈이 잘 회전되지 않고 있구나' 라고 이해해야 한다. 만약 경제를 잘 돌아가게 하려면 돈을 많이 공급하고 자주 회전시키면 된다. 그런데 돈이 많아지려면 누군가가 부채 (빚)를 발생시켜야 하며, 부채가 많아질 때 경제가 좋아진다.
경기가 좋지 않다 = 돈이 잘 회전되지 않는다 = 부채가 적어진다 (부채가 감소한다)
경제가 좋아진다 = 돈이 잘 회전된다 = 부채가 많아진다 (부채가 증가한다)
경제를 잘 돌아가게 하는 방법은 2가지다.
1) 돈을 많이 공급하거나
2) 돈을 순환시키거나.
<출처>
https://www.youtube.com/channel/UCJXg2M-xwdIk8Sgg1irjaHA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의 감각 - 인플레이션 / 디플레이션 (0) | 2020.04.16 |
---|---|
시골의사의 부자경제학 - 재테크의 세 가지 기준 (0) | 2020.04.15 |
시골의사의 부자 경제학 - 부자의 철학, 부자의 논리 (0) | 2020.04.14 |
돈의 감각 - 평가절하 / 평가절상 / 가치절하 / 가치절상 (0) | 2020.04.11 |
돈의 감각 - 시장 가격 결정을 대표하는 두 가지 요인 (0) | 2020.04.10 |